1. LED를 깜빡여보자(Cisco Lab 2.2.2.5 - Blinking an LED using RedBoard and Arduino IDE)
준비물 : 빵판, 아두이노, 330Ω저항, LED, 시리얼 케이블, M/M 점퍼선 2개입니다.
※ Cisco 실습에서는 아두이노로 레드보드를 사용하였습니다.
※ M/M 점퍼선이란? 점퍼 케이블 중 양쪽 끝이 핀처럼 튀어나온 것을 의미합니다.
Male/Male 의미며 '숫케이블'이라고도 부릅니다. 동물의 성별을 구분할 때 암/수에서 유래됐다고 합니다.
반대로 F/F 점퍼선은 Female/Female 의미며 '암케이블'이라고도 불립니다.
Lab파일을 열어보면 그림 처럼 제시되어있는데 잘못된 그림이라고 생각합니다.
+와 -에 모두 디지털 핀을 입력 시켜버리면 LED에 전원공급이 안되는데 어떻게 LED를 켜겠습니까..
노랑 선으로 제가 수정해 보았습니다.
긴 쪽(+)에는 LED를 제어할 수 있도록 디지털 핀(13번)에 꽂고,
짧은 쪽(-)에는 GND에 이어주어 전원을 공급합니다.
빵판은 가로 부분 5개끼리 연결되어 있고
+(빨간색) 한줄끼리, -(파란색) 한줄끼리 연결되어 있습니다.
그러므로 Lab에 제시된 그림과 같이 몇번 위치에 끼워야 하고 꼭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.
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코드를 입력해주고
업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.
(파일▶예제▶01.Basics▶Blink 클릭 하신 뒤, LED_BUILTIN 부분을 13으로 바꿔주셔도 됩니다.)
이런 식으로 1초마다 LED를 깜빡이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꼭 13번이 아니라 DIGITAL PIN 어느 부분에 꽂으 신 뒤, 아두이노 스케치에서 번호만 지정 잘 해서 프로그래밍 해주시면 돌아갑니다.